728x90
반응형
SMALL
시사정치용어 거시경제란 무엇인가?
거시경제란 무엇인가?
거시경제란 국가나 지역, 세계 등의 전체적인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학문입니다. 거시경제는 국민소득, 물가, 실업, 환율, 국제수지 등의 거시경제 지표를 측정하고, 이들 지표의 결정 요인과 상호 관계, 변화의 원인과 결과, 정책의 효과와 한계 등을 연구합니다. 거시경제는 경제의 성장과 발전, 안정과 번영,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거시경제의 주요 주제와 개념
거시경제는 다양한 주제와 개념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주요한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내총생산(GDP): 한 국가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최종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의 합입니다. GDP는 경제의 규모와 활동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세 가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생산접근방법은 생산된 최종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합산하는 방법이고, 분배접근방법은 생산에 참여한 경제주체들이 받은 소득을 합산하는 방법이고, 지출접근방법은 생산된 최종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지출을 합산하는 방법입니다.
- 인플레이션: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소비자 물가지수(CPI)나 생산자 물가지수(PPI) 등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경제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며, 인플레이션의 원인에 따라 수요측 인플레이션과 공급측 인플레이션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생계비를 증가시키고, 경제에 왜곡을 일으키고, 불안정성을 증대시킵니다.
- 실업: 노동력으로서 일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으나 적절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실업은 실업률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실업률은 실업인구를 노동력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실업의 원인에 따라 마찰실업, 구조실업, 순환실업, 계절실업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실업은 소득을 감소시키고, 빈곤을 증가시키고, 사회문제를 야기합니다.
- 환율: 한 국가의 통화가 다른 국가의 통화로 교환되는 비율입니다. 환율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며, 환율의 움직임에 따라 강세환율과 약세환율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환율은 국제수지와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며, 환율의 변동성은 경제의 불안정성을 증대시킵니다.
- 국제수지: 한 국가가 다른 국가와 거래하는 재화와 서비스, 자본, 송금 등의 흐름을 기록한 장부입니다. 국제수지는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경상수지는 재화와 서비스, 소득, 현재이전 등의 흐름을 기록하며, 자본수지는 금융자산과 부채, 자본이전 등의 흐름을 기록합니다. 국제수지는 국가의 대외경제의 상태와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로, 국제수지의 적자와 흑자는 환율과 외환보유액에 영향을 미칩니다.
거시경제의 이론
- 케인즈이론: 존 메이너드 케인즈에 의해 제시된 이론으로, 시장은 불안정하고 불완전하므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경제의 안정과 번영을 이루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케인즈이론은 총수요와 총공급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며, 총수요의 부족이 실업과 불황의 원인이라고 보고,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통해 총수요를 증가시켜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고전이론: 아담 스미스와 데이비드 리카르도 등에 의해 제시된 이론으로, 시장은 안정적이고 완전하므로 정부의 개입은 불필요하고 해로우다는 주장입니다. 고전이론은 가치와 분배, 성장과 발전, 국제무역과 환율 등을 중심으로 하며, 시장의 자체조정능력을 강조하고, 자유무역과 자유시장을 지지합니다.
- 신고전이론: 로버트 루카스와 토마스 서지 등에 의해 제시된 이론으로, 고전이론을 계승하면서도, 기대와 정보, 합리적 선택 등을 고려하여 시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신고전이론은 경제주체들의 행동과 시장의 결과를 미시경제적 기반으로 설명하고, 정부의 개입은 비효율적이고 비합리적이라고 주장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파성이란 무엇인가? (0) | 2024.01.22 |
---|---|
시사정치용어 미소수입물량이란 무엇인가? (0) | 2024.01.08 |
다원주의란 무엇인가? (0) | 2024.01.02 |
WTO란 무엇인가? (0) | 2023.12.29 |
대법원 전원합의체란 무엇인가? (0) | 2023.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