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

다원주의란 무엇인가?

by nightnightgun 2024. 1. 2.
728x90
반응형
SMALL

다원주의란 무엇인가?

다원주의란?

다원주의(多元主義, Pluralism)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겠다는 정치 철학입니다. 흥미, 관심, 문화, 신념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은 현대 민주주의의 철칙 중 하나입니다. 현대사회는 개인적 혹은 집단 차원에 관한 상이한 인식과 이해를 구현하는 다양한 삶의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명한 다원주의자로는 아리스토텔레스, 미셸 드 몽테뉴, 제임스 매디슨, 알렉시 드 토크빌, 에드먼드 버크, 아이제이아 벌린, 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흄, 찰스 샌더스 퍼스, 윌리엄 제임스, 버나드 윌리엄스, 러니드 핸드, 마이클 오크숏, 파울 파이어아벤트, 한나 아렌트, 로버트 앨런 달 등이 있습니다.



다원주의의 역사

다원주의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부터 시작됩니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양한 정치체제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균형있는 혼합체제를 제안했습니다. 그는 또한, 공동선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특정 커뮤니티의 모든 구성원 또는 대부분의 구성원에게 유익하고 공유되는 모든 것을 지칭했습니다. 이러한 공동선은 정치이론가 장 자크 루소와 존 로크가 표현한 사회계약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다원주의는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서구 기독교와 그 문화에 대한 반발 혹은 상대화 되어버린 역사적 상황 속에서 발전했습니다. 특히, 영국에서는 진보적인 정치 및 경제 작가들이 무제한 자본주의의 영향으로 개인이 서로 고립되는 경향이 증가하는 것에 반대했습니다. 그들은 무역 길드, 마을, 수도원 및 대학과 같은 다양하지만 응집력 있는 중세 구성의 사회적 특성을 인용하면서 다원주의가 경제적, 행정적 분권화를 통해 현대 산업화된 사회의 부정적인 측면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다원주의는 또한, 미국의 연방주의와 대표민주주의의 원리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1787년 미국 헌법의 아버지로 알려진 제임스 매디슨은 다원주의를 주장했습니다. 연방주의자 논문 제10호에서 그는 분파주의와 그 고유의 정치적 내분이 새로운 미국 공화국을 치명적으로 분열시킬 것이라는 두려움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매디슨은 경쟁하는 많은 파벌이 정부에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만 이 끔찍한 결과를 피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제임스 매디슨은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본질적으로 다원주의를 정의했습니다.



다원주의의 종류

다원주의는 정치와 정부뿐만 아니라 사회의 다른 영역, 특히 문화와 종교에서도 적용됩니다. 문화적 다원주의와 종교적 다원주의는 어느 정도 윤리적 또는 도덕적 다원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즉, 여러 가지 다양한 가치가 영원히 서로 충돌할 수 있지만 모두 똑같이 옳다는 이론입니다.

문화적 다원주의

문화적 다원주의는 소수 집단이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지배적인 사회의 모든 영역에 완전히 참여하는 조건을 설명합니다. 문화적으로 다원주의적인 사회에서는 서로 다른 집단이 서로에게 관대하고 큰 갈등 없이 공존하는 반면, 소수 집단은 조상의 관습을 유지하도록 권장됩니다. 현실 세계에서 문화적 다원주의는 소수 집단의 전통과 관행이 다수 사회에 받아들여져야만 성공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수락이 민권법과 같은 법률에 의해 보호되어야 합니다. 또한 소수 문화는 다수 문화의 그러한 법률이나 가치와 양립할 수 없는 일부 관습을 변경하거나 심지어 삭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날 미국은 고유한 전통을 유지하면서 토착 문화와 이민자 문화가 함께 공존하는 문화적 "용광로"로 간주됩니다. 많은 미국 도시에는 시카고의 리틀 이탈리아나 샌프란시스코의 차이나타운과 같은 지역이 있습니다. 또한,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은 자신들의 전통, 종교, 역사를 실천하고 미래 세대에 전수하는 별도의 정부와 공동체를 유지합니다. 미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문화적 다원주의가 전 세계적으로 번성하고 있습니다. 인도에서는 힌두교도와 힌디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이지만 다른 민족과 종교를 가진 수백만 명의 사람들도 그곳에 살고 있습니다.

종교적 다원주의

종교적 다원주의는 다양한 종교와 신앙이 공존하고, 서로 존중하고, 대화하고, 협력하는 조건을 설명합니다. 종교적 다원주의는 종교적 독점주의나 종교적 동일주의와 대조되는 개념입니다. 종교적 독점주의는 자신의 종교가 유일한 진리이고, 다른 종교는 오해나 오류에 빠진 것이라고 주장하는 입장입니다. 종교적 동일주의는 모든 종교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고, 다른 것은 표면적인 차이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입장입니다. 종교적 다원주의는 이러한 두 극단을 피하면서, 종교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각 종교의 독특성과 가치를 존중하고, 종교 간의 대화와 협력을 촉진하려는 입장입니다.


종교적 다원주의는 세계화와 이주, 다문화주의와 인권, 종교적 갈등과 평화 등의 현대 사회의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종교적 다원주의는 다른 종교를 배제하거나 동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교를 이해하고 존중하고, 공동의 목표와 가치를 찾아내고, 사회적 정의와 평화를 위해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종교적 다원주의는 종교의 자유와 평등을 보장하고, 종교적 편견과 차별을 방지하고, 종교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즐기는 사회를 구축하려는 노력입니다.

종교적 다원주의는 세계의 다양한 지역과 문화에서 실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 바하이교 등의 다양한 종교가 공식적으로 인정되고,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또한, 유엔에서는 2010년부터 8월 12일을 '세계 종교적 다원주의의 날’로 지정하고, 종교 간의 대화와 이해를 촉진하는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