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

일반상식 : 리플리 증후군

by nightnightgun 2023. 7. 19.
반응형


리플리 증후군이란?


리플리 증후군은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면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허구의 세계를 진실이라 믿고 상습적으로 거짓된 말과 행동을 반복하는 반사회적 인격장애라고 부르는 대한민국의 신조어입니다. 미국의 소설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가 지은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씨》에서 따온 말로 '리플리병’이나 '리플리 효과’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실제로 의학계에서 병명으로 사용되는 말은 아닙니다.



리플리 증후군의 특징과 원인


리플리 증후군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어나지 않은 일을 진실이라 믿으며 상습적, 지속적으로 거짓말을 합니다.
  • 실제 발생하는 이득이 하나도 없는 거짓말을 지속적, 상습적으로 합니다.
  • 거짓말을 하는데 일말의 죄책감이나 불안감을 보이지 않으며 오히려 거짓말을 하고 나면 기분이 좋아지고 마음이 후련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리플리 증후군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실과 이상의 차이가 클 때 나타나는 과도한 열등감이나 욕구 불충족, 현실에 대한 불만족, 낮은 자존감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자신의 처지에 비관적이거나 성취욕구는 강하지만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자신이 처한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상황, 특히 부나 사회적 역할을 극대화하기 위한 거짓말을 하게 됩니다.



리플리 증후군의 사례와 자가 테스트


리플리 증후군의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다니지 않는 학교에 다닌다고 하거나 가지지 않은 것을 가진 것처럼 말하고 다른 사람들의 선망을 받는 직장에 다니는 것처럼 행동하는 경우
  • 학력위조, 신분 세탁, 배경을 속이고 결혼하는 경우
  • 사람을 죽인 후 거짓말과 행동으로 일관하는 경우



자신이 리플리 증후군인지 확인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자가 테스트를 해볼 수 있습니다.

  • 내가 한 거짓말에 대해 얼마나 자주 생각하고 있는가?
  • 내가 한 거짓말에 대해 얼마나 자주 불안하거나 죄책감을 느끼는가?
  • 내가 한 거짓말에 대해 얼마나 자주 사과하거나 바로잡으려고 하는가?
  • 내가 한 거짓말이 얼마나 자주 들키거나 문제를 일으키는가?
  • 내가 한 거짓말이 얼마나 자주 내 인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해 1점(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5점(매우 그렇다)까지 점수를 매겨보고, 총점이 15점 이상이라면 리플리 증후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리플리 증후군의 치료법


리플리 증후군은 정신과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됩니다.

  • 정신분석 치료: 자신의 거짓말의 동기와 원인을 파악하고, 현실과 허구의 구분을 명확히 하며,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를 재정립하는 과정입니다.
  • 인지 행동 치료: 자신의 거짓말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바꾸고, 거짓말을 하지 않는 방법과 대안을 찾고, 거짓말을 하지 않았을 때의 장점과 보상을 인식하는 과정입니다.
  • 약물 치료: 거짓말을 유발하는 정신적인 문제나 증상에 따라 항우울제, 항불안제, 항정신병제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리플리 증후군은 심각한 정신적인 장애로, 무시하거나 방치하면 안됩니다. 만약 자신이나 주변인이 리플리 증후군일 것 같다면, 적절한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상식 : 포퓰리즘  (0) 2023.08.13
일반상식 : 엘렉트라 콤플렉스  (0) 2023.07.19
일반상식 : 스톡홀름 증후군  (0) 2023.07.19
일반상식 : 유치원 3법  (0) 2023.07.18
일반상식 : 민식이법  (0) 2023.07.18